오늘은 유기견에 대하여 이야기를 해볼까합니다. 하나의 생명 반려견 그들과 함께 하는 시간이 적게는 8년~10년 길게는 15년 이상 까지 함께합니다. 유기견 무료분양을 받는데 있어 조금더 생각을 신중하게 해봐야 할것 같습니다.유기견 무료분양은 아무래도 좀더 가벼운 마음으로 분양을 하는 분들이 많은것 같더라구요. 한 생명을 구하고 함께 살아간다는 마음으로 분양을 받으셔야 합니다. 만약 파양을 한다거나 또다시 버려진다는것은 너무나도 안타까운일이기 때문이죠.
유기견 무료분양은 잘못된 선택으로 한번 파양되거나 버려진 반려견을 말하는데요. 그런 유기견을 입양하거나 동물봊지에 기여하는 것이기에 멋지고 훌륭한 선택인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유기견에 대한 재파양은 일반적인 파양 보다 더 큰 상처를 줄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분양 전에 꼭 알아야할 주의사항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려견과 함께 할수 있는 환경조건.
유기견 무료분양을 하기전 꼭 반려견과 함께 할 수있는 환경이 되는지 부터 알아봐야합니다. 같이 지내는 가족들의 의사와 충분한 협의가 있어야 합니다.유기견 무료분양은 일반적인 분양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에 쉽게 생각할 수도 있으며 , 지낼곳을 잃은 강아지에게 새로운 주인과 집을 제공하는 훌륭한 일이지만 일반적으로 유기견은 다른 강아지 분양보다 힘들일이 될수도있답니다.그 이유는 이미 상처가 있는 반려견이기도 하고 짖음이나 배변훈련등 제대로 예절교육을 받지 못하여 잘못된 습관이 있을수 있기 때문이조.
유기견들의 성격
유기견 무료분양도 일반분양과 마찬가지로 반려견의 성격이 다 다릅니다. 그렇지만 유기견 같은 경우는 세끼때부터가 아닌 어느 정도 자란 성견이 대부분인데요. 이미 뚜렷한 성격을 가지고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기견 분양받기전 무료분양사이트나 센터를 찾아가보시면 , 성격에 대해 미리 고지를 하는 경구가 대부분입니다. 그렇기에 어떻게 보면 미리 외모또는 성격 습관을 알 수 있는 장점은 있습니다. 그에 반면 이미 한번 상처를 받았기에 사회성이 많이 부족할수도 있습니다. 그런경우 훈련을 통하여 사회성을 다시 기르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막상 유기견 무료분양을 받았는데 , 처음 반려견을 키우는 분들이라면 여러가지 문제가 나타날수도 있는데요. 배변문제등 잦은 짖음과 또한 물리는 사고까지 날수 있답니다. 유기견 무료분양 전에는 그렇지 않았지만 , 후에 나타날수 있는 일들이기에 충분한 지식를 공부하셔야 합니다.
이러한 장점과 단점을 봤을때 그래도 나는 유기견 무료분양을 원한다
충분한 지식과 환경 그리고 마음가짐이 정해졌다면, 우선 유기견 무료분양은 지자체에 입양된 경우 10일에서 20일간 보호를 받다가 안락사를 받습니다. 한 해 안락사되는 유기견은 2만 마리가 넘는다고 합니다. 거기에 완전 무료분양인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견종 또는 견종의 나이에 따라 어마간의 책임비라는 것을 지불하기 되어 있죠. 보편적으로 유기견 분양시에는 동물등록비라고 1만원이 소요 되지만 평균직인 비용은 최대 10만원의 책임비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유기견 무료분양은 종합유기견보호센터또는 동몰보호관리시스템이라는 홈페이지가 있는데요. 여기서 유기견 입양과 관련된 정보 및 유기견 보호센터 기관에서 보호하는 유기견들의 현황 및 사진을 확인할 수있답니다. http://www.zooseyo.or.kr/
종합유기견보호센터
유기견보호센터,공식유기견보호센터,유기견찾기,분실,강아지실종신고,보호소무료분양,자원봉사활동,후원
www.zooseyo.or.kr
동물보호관리시스템
www.animal.go.kr
하루에도 버려지는 반려견들이 많다고 합니다. 반려견은 한평생 함께할 강아지로 붙혀진 이름입니다 더이상 반려견들이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일상 > 생활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프너 없이 와인 따는 법 대공개! (0) | 2020.05.01 |
---|---|
개는 훌륭하다의 문제견 카네코르소 (케인코르소) 성격 (0) | 2020.04.30 |
주정차단속 문자알림 서비스 신청 사용하기 (0) | 2020.04.23 |
실업급여 조기재취업수당 (금액/조건/신청방법)알아보기 (0) | 2020.04.16 |
2020년 전기차 추천 그리고 가격 / 보조금 알아보기 (0) | 2020.04.15 |